분류 전체보기327 stop() / delay() 메서드 stop() 메서드는 요소에 적용한 애니메이션을 정지시킨다. delay() 메서드는 요소에 적용한 애니메이션을 지정한 시간만큼 지연시킨다. * stop() 기본형 1) $("요소 선택").stop( ); 2) $("요소 선택").stop(clearQueue, finish); 1) 진행중인 첫번째 애니메이션만 정지시킨다. 큐에 대기중인 애니메이션은 계속해서 실행한다. 2) clearQueue, finish는 true나 false의 값을 입력할 수 있다. 기본값은 false , clearQueue가 true면 큐에서 대기중인 애니메이션을 모두 제거한다. finish가 true면 진행중인 애니메이션을 강제로 종료시킨다. ① 진행중인 애니메이션만 정지 시키는 경우 $(".txt1").animate({opacit.. 2021. 8. 25. animate() 메서드 animate()메서드를 이용하면 선택한 요소에 다양한 동작 효과를 적용 할 수 있다. ( 요소를 앞으로 이동시키거나 점차 커지게하는 등) * 기본형 $("요소 선택").animate({스타일 속성}, 적용 시간, 가속도, 콜백함수) - 스타일 속성 : 애니메이션으로 적용할 스타일 속성 - 적용시간 : 동작에 반응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며, 적용 시간의 옵션은 효과 함수에 적용한 것 과 같다. * 예제 버튼1 "500px" 이동 버튼2 "50px"씩 이동 2021. 8. 25. fadeTo() 메서드 * 기본형 $("요소 선택").fadeTo(효과 소요 시간, 투명도, 콜백함수); 투명도는 0~1까지의 값을 입력할 수 있으며, 1에 가까울수록 선명하다. * 예제 slideUp fadeIn toggleSide fadeTo(0.3) fadeTo(1)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cing elit. Maecenas feugiat consectetur nibh, ut luctus urna placerat non. Phasellus consectetur nunc nec mi feugiat egestas. Pellentesque et consectetur mauris, sed rutrum est. Etiam odio nunc, ornare quis urna .. 2021. 8. 25. 효과 및 애니메이션 메서드 1. 효과 메서드 효과(Effect) 메서드에는 선택한 요소를 역동적으로 숨겼다가 보이게 만드는 기능을 가진 메서드다. * 효과 메서드 종류 구분 종류 설명 숨김 hide() 요소를 숨긴다. fadeOut() 요소가 점점 투명해지면서 사라진다. slideUp() 요소가 위로 접히며 숨겨진다. 노출 show() 숨겨진 요소가 노출된다. fadeIn() 숨겨진 요소가 점점 선명해진다. slideDown() 숨겨진 요소가 아래로 펼쳐진다. 노출, 숨김 toggle() hide(), show() 효과를 적용한다. fadeToggle() fadeIn(), fadeOut() 효과를 적용한다. fadeTo() 지정한 투명도를 적용한다. * 기본형 $("요소 선택").효과 메서드(효과 소요 시간, 가속도, 콜백함수);.. 2021. 8. 25. 이전 1 ··· 34 35 36 37 38 39 40 ··· 82 다음